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은 1900년 창단된 독일의 축구 클럽으로, 독일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4회, 분데스리가에서 2회 우승을 차지했다. 1990년대에는 분데스리가 우승과 2. 분데스리가 강등을 겪었지만, 승격팀 신분으로 분데스리가 우승을 달성하는 기적을 연출했다. 또한, UEFA 챔피언스리그와 UEFA 유로파리그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프리츠 발터, 미로슬라프 클로제 등 유명 선수들을 배출했으며, 현재 육상, 농구, 권투 등 다양한 스포츠 부서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은 독일 카이저슬라우테른에 위치한 축구 경기장으로,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의 홈 구장이자 1954년 월드컵 우승 주역인 프리츠 발터의 이름을 딴 경기장이며, '베첸베르크 슈타디온'이라는 애칭으로도 불리고 2006년 FIFA 월드컵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 에리크 두름
독일의 축구 선수 에리크 두름은 수비수로 활동하며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허더즈필드 타운,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등에서 뛰었고, 독일 국가대표로 2014년 FIFA 월드컵 우승 멤버였으며 2024년 은퇴했다. - 라인란트팔츠주의 축구단 - 1. FSV 마인츠 05
1. FSV 마인츠 05는 1905년 창단된 독일 축구 클럽으로, 위르겐 클롭 감독 시절 분데스리가 1부 리그에 승격하고 UEFA컵에 진출했으며, 현재 메와 아레나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는 마인츠 연고의 클럽이다. - 라인란트팔츠주의 축구단 - 보르마티아 보름스
1908년 창단된 독일 축구 클럽 SC 보르마티아 보름스는 합병과 리그 재편을 거쳐 가울리가 쥐트베스트 우승, 남서부 컵 우승 등의 기록을 보유하고 분데스리가 2부 리그에 참가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주로 4부 리그인 레기오날리가에서 활동한다. - 1900년 설립된 축구단 - SS 라치오
SS 라치오는 1900년 로마에서 창단된 이탈리아 프로 축구 클럽으로, 세리에 A 2회 우승, 코파 이탈리아 7회 우승 등 국내외 대회에서 활약했으며 흰색과 하늘색을 팀 컬러로, 독수리를 상징으로 사용하는 AS 로마와의 로마 더비로 유명하다. - 1900년 설립된 축구단 - AFC 아약스
AFC 아약스는 1900년 창단되어 에레디비시 36회 우승을 포함, 네덜란드 축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클럽 중 하나이며 UEFA 챔피언스리그 4회 우승 등 유럽 무대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적을 거둔 토털 풋볼의 발상지이다.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풀 네임 | 1. Fußball-Club Kaiserslautern e. V. |
약칭 | FCK |
별칭 | Die roten Teufel (붉은 악마) |
창단일 | 1900년 6월 2일 |
홈 경기장 | 프리츠-발터-슈타디온 |
수용 인원 | 49,327명 |
소유주 | Fußball-Club Kaiserslautern e.V. (45%) Saar-Pfalz-Invest GmbH (45%) U.S. 컨소시엄 (10%) |
이사회 의장 | 라이너 케슬러 (회장), 요하네스 베냐민 레미 (부회장) |
감독 | 마르쿠스 안팡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경기 정보 | |
리그 | 2부 분데스리가 |
시즌 | 2024–25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pattern_la1: _kaiserslautern2425h pattern_b1: _kaiserslautern2425h pattern_ra1: _kaiserslautern2425h pattern_sh1: _kaiserslautern2425h pattern_so1: _kaiserslautern2425hl leftarm1: ff0000 body1: FF0000 rightarm1: ff0000 shorts1: bc0000 socks1: FF0000 |
원정 유니폼 | pattern_la2: _kaiserslautern2425a pattern_b2: _kaiserslautern2425a pattern_ra2: _kaiserslautern2425a pattern_sh2: _kaiserslautern2425a pattern_so2: _kaiserslautern2425al leftarm2: ffffff body2: ffffff rightarm2: ffffff shorts2: ffffff socks2: ffffff |
써드 유니폼 | pattern_la3: pattern_b3: _kaiserslautern2425t pattern_ra3: pattern_sh3: _kaiserslautern2425t pattern_so3: _kaiserslautern2425tl leftarm3: d4f3ff body3: d4f3ff rightarm3: d4f3ff shorts3: d4f3ff socks3: d4f3ff |
2. 역사
카이저슬라우테른은 1900년 바바리아(Bavaria)와 FC 1900 두 클럽의 통합으로 창단되었다. 1908년 서부 크라이슬리가(Kreis-Liga, 1부 리그) 출범 당시 FC 1900은 이 리그에서 첫 타이틀을 획득했다.[4] 이후 FV 카이저슬라우테른(FV Kaiserslautern)으로 통합, 1910년과 1912년에 리그 준우승을 차지했다. 1919년 크라이슬리가 자르(Kreisliga Saar), 1920년 크라이슬리가 팔츠(Kreisliga Pfalz)를 거쳐, 1931년에는 베지르크리가 라인-자르(Bezirksliga Rhein-Saar) 1부 리그에 진출했다.[4] 1930년대 대부분을 베치어크스리가와 나치 독일의 축구 리그 개편에 따른 남서부 가울리가(Gauliga Südwest)를 오르내렸다.[4]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카이저슬라우테른의 성적은 변함이 없었으나, 1939년을 기점으로 좋아졌다. 남서부 / 슈타펠 자르팔츠 가울리가(Gauliga Südwest/Staffel Saarpfalz)에서 우승했지만, 슈타펠 마인헤센(Staffel Mainhessen) 챔피언인 키커스 오펜바흐에 패했다.[4] 1941-42 시즌, 가울리가는 헤센-나사우 가울리가(Gauliga Hessen-Nassau)와 베스트마어크 가울리가(Westmark Gauliga)로 분리되었고, 카이저슬라우테른은 베스트마어크 가울리가에서 우승, 전국 플레이오프에 참여했다. 그러나 FC 샬케 04와의 경기에서 3-9로 패했다.[4] 1944년, 리그 최하위를 기록했고, 이듬해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독일 내 리그가 중단되었다.[4]
종전 이후, 남서부 독일은 프랑스 통제 하에 있었다. 프랑스는 자를란트를 분리했다. 카이저슬라우테른은 1945년 남서부 오베르리가에 속하게 되었고, 1947년, 프리츠 발터와 오트마 발터 형제의 활약으로 북부 조 (Gruppe Nord)에서 우승했다. 이는 이후 카이저슬라우테른이 12시즌 동안 11번의 우승을 차지하는 오베르리가 쥐트베스트 지배의 시작이었다. 1948년 독일 챔피언십 결승전에 진출했지만, 1. FC 뉘른베르크에 1-2로 패했다.
카이저슬라우테른은 1951년 결승전에서 프로이센 뮌스터를 2-1로 꺾고 첫 독일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했다. 1953년에 두 번째 타이틀을 획득했으나, 1954년과 1955년에는 연달아 준우승에 그쳤다. 1954년 FIFA 월드컵에 서독 국가대표팀 선수 5명을 배출했고, 서독은 결승전에서 헝가리를 꺾고 우승하며 "베른의 기적"을 이끌었다.[5] 1961년 DFB-포칼 준우승에 그쳤다. 카이저슬라우테른은 분데스리가 출범 직전인 1963년에 리그 우승을 차지하여 분데스리가 원년 멤버가 되었다.
분데스리가 원년 멤버로 참여한 FCK는 초기에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1970년대에는 DFB-포칼에서 준우승, 1980년대에는 UEFA컵 준결승에 진출했다. 카를-하인츠 펠트캄프 감독의 지휘 아래, 1990-91 시즌 분데스리가에서 우승했고, 1995-96 시즌 DFB-포칼에서 우승했다. 그러나 1995-96 시즌 리그에서는 16위로 마감하며 2. 분데스리가로 강등되었다. 오토 레하겔 감독 부임 후, 1997-98 시즌 2. 분데스리가에서 우승하며 곧바로 분데스리가로 승격했고, 승격 첫 해인 1997-98 시즌에 분데스리가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분데스리가 역사상 최초이자 유일한 승격팀 우승 기록이다. 이후 FCK는 1998-99 시즌 챔피언스리그 8강에 진출했다.
2000년대 초반 2006년 FIFA 월드컵을 위한 홈구장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 리모델링 공사로 인한 재정난과 성적 부진으로 위기를 맞았다. 2002년 파산 직전까지 몰렸으나,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을 라인란트팔츠주와 카이저슬라우테른 시에 매각하여 재정 위기를 극복하고, 에릭 게레츠 감독 부임으로 강등 위기에서 벗어났다.
2003-04 시즌 징계로 승점 3점이 삭감된 채 시작했고, 감독이 쿠르트 야라로 교체되었다. 야라 감독은 수비적인 전술로 팬들의 비판을 받았고, 시즌 종료 전 사임했다. 미하엘 헨케 감독이 부임했으나 성적 부진으로 경질되었고, 볼프강 볼프 감독 부임후 2005-06 시즌 강등을 막지 못했다.
2006-07 시즌 6위를 기록한 후, 2007년 켸틸 레크달 감독이 부임했으나 성적 부진으로 경질되었고, 밀란 샤시치 감독이 부임했다. 2008년 슈테판 쿤츠 단장 부임 후, 2007-08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1. FC 쾰른을 꺾고 3. 리가 강등을 면했다.
2008-09 시즌 도중 샤시치 감독이 경질되고 알로이스 슈바어츠 감독 대행 체제를 거쳐 마르코 쿠어츠 감독이 부임했다. 쿠어츠 감독의 지휘 아래 2010년 4월 25일, 4년 만에 1. 분데스리가로 승격했다. 2010-11 시즌 초반 FC 바이에른 뮌헨을 2-0으로 꺾는 등 돌풍을 일으켰으나, 이후 부진을 겪다가 시즌 막판 7승 1무 2패를 기록하며 7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그러나 2011-12 시즌 최하위로 강등되었다.
2017-18 시즌 리그 최하위를 기록하며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3. 리가로 강등되는 수모를 겪었다. 2022년 5월 24일, 3부 리그 강등 4년 만에 2. 분데스리가로 승격했다.[11] 2023-24 시즌 DFB-포칼 결승에 진출하여 21년 만에 바이어 04 레버쿠젠에 1-0으로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2. 1. 초창기 (1900년 ~ 1945년)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이하 카이저슬라우테른)은 바바리아(Bavaria)와 FC 1900 두 클럽의 통합으로 창단되었다. 1908년 서부 크라이슬리가(Kreis-Liga, 1부 리그)가 출범했을 때, FC 1900은 이 리그에서 첫 타이틀을 획득하였다.[4] 1908년을 기점으로 FV 카이저슬라우테른(FV Kaiserslautern)으로 통합된 이후, 1910년과 1912년에 리그 준우승을 차지하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이후 FV 카이저슬라우테른은 1919년 크라이슬리가 자르(Kreisliga Saar), 1920년 크라이슬리가 팔츠(Kreisliga Pfalz)를 거쳐, 1931년에는 베지르크리가 라인-자르(Bezirksliga Rhein-Saar) 1부 리그에 진출했다.[4] 1930년대 대부분을 베치어크스리가와 나치 독일의 축구 리그 개편에 따른 16개 1부 리그 중 하나인 남서부 가울리가(Gauliga Südwest)를 오르내렸다.[4]
제2차 세계 대전이 진행되는 동안 카이저슬라우테른의 성적은 변함이 없었으나, 1939년을 기점으로 성적이 좋아졌다. 남서부 / 슈타펠 자르팔츠 가울리가(Gauliga Südwest/Staffel Saarpfalz)에서 우승을 거두었으나, 슈타펠 마인헤센(Staffel Mainhessen)의 챔피언인 키커스 오펜바흐에 패하였다.[4] 1941-42 시즌, 남서부 / 슈타펠 자르팔츠 가울리가는 헤센-나사우 가울리가(Gauliga Hessen-Nassau)와 베스트마어크 가울리가(Westmark Gauliga)로 분리되었고, 카이저슬라우테른은 베스트마어크 가울리가에서 우승하여 처음으로 전국 플레이오프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당시 독일 축구계 최강이었던 FC 샬케 04와의 경기에서 3-9로 패하여 탈락하였고, 샬케는 이후 시즌 우승을 거두었다.[4]
1944년, 카이저슬라우테른은 리그 최하위를 기록하였고, 이듬해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독일 내 리그가 중단되었다.[4]
2. 2. 전후 재건과 황금기 (1945년 ~ 1963년)
종전 이후, 남서부 독일은 프랑스의 통제 하에 있었다. 이 지역의 팀들은 남부와 북부로 나뉘어 리그를 진행했고, 다음 시즌에 새로 출범하는 통합 리그인 오버리가에 합류할 팀들을 정했다. 프랑스는 다른 지역에 비해 이 지역의 통제를 늦게 철회했고, 그 결과 자를란트가 분리되었다.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은 1945년에 남서부 오베르리가에 속하게 되었고, 1. FC 자르브뤼켄에 1점 뒤진 채 시즌을 마감했다. 그 다음 시즌인 1947년, 카이저슬라우테른은 프리츠 발터와 오트마 발터 형제의 활약으로 북부 조 (Gruppe Nord)에서 쉽게 우승을 거두었다. 이 둘은 46골을 합작하여, 다른 팀 전체보다 더 많은 득점을 기록했다.1947년의 우승은 이후 카이저슬라우테른이 12시즌 동안 11번의 우승을 차지하는 오베르리가 쥐트베스트 지배의 시작이었다. FCK는 1948년에 종전 후 처음으로 독일 챔피언십 결승전에 진출했지만, 1. FC 뉘른베르크에 1-2로 패했다.
카이저슬라우테른은 1950년대 초 국가대표팀에 큰 존재감을 과시했고, 1951년 결승전에서 프로이센 뮌스터를 2-1로 꺾고 첫 독일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1953년에 두 번째 타이틀을 획득했으나, 1954년과 1955년에는 연달아 준우승에 그쳤다. 이 클럽은 1954년 FIFA 월드컵에 서독 국가대표팀 선수 5명을 배출했고, 서독은 결승전에서 헝가리를 꺾고 우승하며 "베른의 기적"을 이끌었다.[5]
1960년대 초에 접어들면서 카이저슬라우테른의 성적은 하락했고, 1961년 DFB-포칼 준우승에 그쳤다. 이 결승전에서 카이저슬라우테른은 SV 베르더 브레멘에 0-2로 패했다. 카이저슬라우테른은 분데스리가 출범 직전인 1963년에 리그 우승을 차지하여 분데스리가 원년 멤버 16개 팀 중 하나가 되었다.
2. 3. 분데스리가 시대 (1963년 ~ 현재)
(5-4 승)'''|-
| 8강
| -- 보루시아 MG
| 1-2
| 1-7
| '''2-9'''
|-
| rowspan="2" | 1976-77
| rowspan="2" | UEFA컵
| 1라운드
| -- 에노시스 네온 파랄림니
| 8-0
| 3-1
| '''11-1'''
|-
| 2라운드
| -- 페예노르트
| 2-2
| 0-5
| '''2-7'''
|-
| rowspan="4" | 1979-80
| rowspan="4" | UEFA컵
| 1라운드
| -- 취리히
| 5-1
| 3-1
| '''8-2'''
|-
| 2라운드
| -- 스포르팅 CP
| 2-0
| 1-1
| '''3-1'''
|-
| 3라운드
| -- 디오슈죄르
| 6-1
| 2-0
| '''8-1'''
|-
| 8강
| -- 바이에른 뮌헨
| 1-0
| 1-4
| '''2-4'''
|-
| rowspan="2" | 1980-81
| rowspan="2" | UEFA컵
| 1라운드
| -- 안데를레흐트
| 1-0
| 2-3
| '''3-3 (a)'''
|-
| 2라운드
| -- 스탕다르 리에주
| 1-2
| 1-2
| '''2-4'''
|-
| rowspan="5" | 1981-82
| rowspan="5" | UEFA컵
| 1라운드
| -- 아카데미크 소피아
| 1-0
| 2-1
| '''3-1'''
|-
| 2라운드
|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4-0
| 1-2
| '''5-2'''
|-
| 3라운드
| -- 스포르팅 로케렌
| 4-1
| 0-1
| '''4-2'''
|-
| 8강
| -- 레알 마드리드
| 5-0
| 1-3
| '''6-3'''
|-
| 준결승
| -- 예테보리
| 1-1
| 1-2
| '''2-3'''
|-
| rowspan="4" | 1982-83
| rowspan="4" | UEFA컵
| 1라운드
| -- 트라브존스포르
| 3-0
| 3-0
| '''6-0'''
|-
| 2라운드
| -- 나폴리
| 2-0
| 2-1
| '''4-1'''
|-
| 3라운드
| -- 세비야
| 4-0
| 0-1
| '''4-1'''
|-
| 8강
| -- 우니베르시타테아 크라이오바
| 3-2
| 0-1
| '''3-3 (a)'''
|-
| rowspan="1" | 1983-84
| rowspan="1" | UEFA컵
| 1라운드
| -- 왓퍼드
| 3-1
| 0-3
| '''3-4'''
|-
| rowspan="1" | 1990-91
| rowspan="1" | UEFA 컵 위너스컵
| 1라운드
| -- 삼프도리아
| 1-0
| 0-2
| '''1-2'''
|-
| rowspan="2" | 1991-92
| rowspan="2" | UEFA 챔피언스컵
| 1라운드
| -- 에타르
| 2-0
| 1-1
| '''3-1'''
|-
| 2라운드
| -- 바르셀로나
| 3-1
| 0-2
| '''3-3 (a)'''
|-
| rowspan="3" | 1992-93
| rowspan="3" | UEFA컵
| 1라운드
| -- 프람
| 4-0
| 3-0
| '''7-0'''
|-
| 2라운드
| -- 셰필드 웬즈데이
| 3-1
| 2-2
| '''5-3'''
|-
| 3라운드
| -- 아약스
| 0-1
| 0-2
| '''0-3'''
|-
| rowspan="2" | 1994-95
| rowspan="2" | UEFA컵
| 1라운드
| -- ÍA
| 4-0
| 4-1
| '''8-1'''
|-
| 2라운드
| -- OB
| 1-1
| 0-0
| '''1-1 (a)'''
|-
| rowspan="2" | 1995-96
| rowspan="2" | UEFA컵
| 1라운드
| --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3-0
| 1-2
| '''4-2'''
|-
| 2라운드
| -- 레알 베티스
| 1-3
| 0-1
| '''1-4'''
|-
| rowspan="1" | 1996-97
| rowspan="1" | UEFA 컵 위너스컵
| 1라운드
| -- 츠르베나 즈베즈다
| 1-0
| 0-4
(a.e.t.)
| '''1-4'''
|-
| rowspan="4" | 1998-99
| rowspan="4" | UEFA 챔피언스리그
| rowspan="3" | F조
| -- 벤피카
| 1-0
| 1-2
| rowspan="3" | '''1위'''
|-
| -- HJK
| 5-2
| 0-0
|-
| -- PSV
| 3-1
| 2-1
|-
| 8강
| -- 바이에른 뮌헨
| 0-4
| 0-2
| '''0-6'''
|-
| rowspan="3" | 1999-00
| rowspan="3" | UEFA컵
| 1라운드
| -- 킬마녹
| 3-0
| 2-0
| '''5-0'''
|-
| 2라운드
| --
2. 3. 1. 1990년대의 영광과 몰락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이하 FCK)은 1996년에 DFB-포칼에서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지만, 리그에서는 16위로 2 분데스리가로 강등되는 수모를 겪었다.[35] 이는 구단 역사상 최초의 강등이었다. 당시 FCK는 분데스리가 원년 멤버 중 2부 리그로 강등되지 않은 4팀 중 하나였으나, 이 시즌에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와 함께 강등되었다. 1. FC 쾰른은 1997-98 시즌에, 함부르크 SV는 2017-18 시즌에 각각 강등되었다.오토 레하겔 감독 부임 후, 1997-98 시즌에 곧바로 분데스리가로 복귀했고, 승격팀 최초로 분데스리가 우승을 차지하는 기적을 이뤄냈다.[35] 이는 현재까지도 깨지지 않는 유일한 기록이다. 1998-99 시즌에는 UEFA 챔피언스리그에 참가하여 PSV 에인트호번, SL 벤피카, HJK 헬싱키를 상대했다.
그러나 이후 FCK는 재정난으로 인해 파산 직전까지 몰리기도 했다.[35] 2006년 FIFA 월드컵을 위한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 리모델링 공사로 인해 빚이 늘어났고, 2002년에는 파산 위기에 처했다. 클럽 회장이었던 레네 C. 예기는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을 라인란트팔츠주와 카이저슬라우테른 시에 매각하여 재정난을 해결했고, 에릭 게레 감독은 팀을 강등 위기에서 구해냈다.
2003-04 시즌, FCK는 독일 축구 협회의 징계로 승점 3점이 삭감된 채 리그를 시작했다.[35] 시즌 초반 부진으로 게레 감독이 경질되고 쿠르트 야라 감독이 부임했으나, 야라 감독은 수비적인 전술로 팬들의 지지를 얻지 못했고, 시즌 종료 전 보드진과의 불화로 사임했다.
2005년, 오트마어 히츠펠트 감독의 수석 코치였던 미하엘 헨케가 감독으로 부임했으나, 팀은 하락세를 보였다.[35] 헨케 감독은 해임되었고, 볼프강 볼프 감독이 부임하여 젊은 선수들을 기용하며 팬들의 지지를 얻었지만, 2005-06 시즌 잔류에 실패하며 9년 만에 다시 2 분데스리가로 강등되었다. 2006-07 시즌에는 6위를 기록하며 승격에 실패했다.
2007년, 켸틸 레크달 감독이 부임했으나 성적 부진으로 경질되었고, 2008년 2월 밀란 샤시치 감독이 부임했다.[35] 슈테판 쿤츠 단장 부임 후, 2007-08 시즌 마지막 라운드에서 1. FC 쾰른을 꺾고 3. 리가 강등을 면했다.
2008-09 시즌, 샤시치 감독은 후반기 부진으로 경질되었고, 알로이스 슈바어츠 감독 대행 체제로 시즌을 7위로 마감했다. 이후 마르코 쿠어츠 감독이 부임하여 2010년 4월 25일, 4년 만에 분데스리가로 복귀했다. 2010-11 시즌 초반, FC 바이에른 뮌헨을 2-0으로 꺾는 등 돌풍을 일으켰으나, 이후 부진으로 강등권에 머물렀다. 그러나 마지막 10경기에서 7승 1무 2패를 기록하며 7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하지만 2011-12 시즌 최하위로 다시 강등되었고, 2012-13 시즌 2 분데스리가 3위를 기록하며 TSG 1899 호펜하임과의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하여 승격에 실패했다.
2017-18 시즌에는 리그 최하위를 기록하며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3. 리가로 강등되는 수모를 겪었다.[35]
2. 3. 2. 2000년대 이후의 위기와 부활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은 2000년대 초반 2006년 FIFA 월드컵을 위한 홈구장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 리모델링 공사로 인한 재정난과 성적 부진으로 위기를 맞았다. 2002년에는 파산 직전까지 몰렸으나,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을 라인란트팔츠주와 카이저슬라우테른 시에 매각하여 재정 위기를 극복하고, 에릭 게레츠 감독 부임으로 강등 위기에서 벗어났다.2003-04 시즌에는 독일 축구 협회의 징계로 승점 3점이 삭감된 채 시작했고, 시즌 초 부진으로 감독이 쿠르트 야라로 교체되었다. 야라 감독은 수비적인 전술로 팬들의 비판을 받았고, 시즌 종료 전 사임했다. 2005년 미하엘 헨케 감독이 부임했으나 성적 부진으로 경질되었고, 볼프강 볼프 감독이 부임하여 젊은 선수들을 기용하며 팬들의 지지를 얻었지만, 2005-06 시즌 강등을 막지 못했다.
2006-07 시즌 2. 분데스리가에서 6위를 기록한 후, 2007년 켸틸 레크달 감독이 부임했으나 성적 부진으로 경질되었고, 밀란 샤시치 감독이 부임했다. 2008년 슈테판 쿤츠 단장 부임 후, 2007-08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1. FC 쾰른을 꺾고 3. 리가 강등을 면했다.
2008-09 시즌 도중 샤시치 감독이 경질되고 알로이스 슈바어츠 감독 대행 체제를 거쳐 마르코 쿠어츠 감독이 부임했다. 쿠어츠 감독의 지휘 아래 2010년 4월 25일, 4년 만에 1. 분데스리가로 승격했다. 2010-11 시즌 초반에는 FC 바이에른 뮌헨을 2-0으로 꺾는 등 돌풍을 일으켰으나, 이후 부진을 겪다가 시즌 막판 10경기에서 7승 1무 2패를 기록하며 7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그러나 2011-12 시즌 최하위로 강등되었다.
2017-18 시즌에는 리그 최하위를 기록하며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3. 리가로 강등되는 수모를 겪었다.
2022년 5월 24일, 3부 리그 강등 4년 만에 2. 분데스리가로 승격했다.[11] 2023-24 시즌에는 DFB-포칼 결승에 진출하여 21년 만에 바이어 04 레버쿠젠에 1-0으로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3. 경기장
FCK의 홈구장은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으로 1920년에 지어졌다.[10] 이 경기장은 "베체 언덕"이라고 불리는 가파른 사암 언덕인 베첸베르크에 자리 잡고 있다.[10] 경기장 이름은 클럽의 전성기를 이끈 프리츠 발터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0]
이 경기장은 49,780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10] 2006년 FIFA 월드컵 당시 경기를 개최한 12개 경기장 중 하나였다.[10] 2006년 FIFA 월드컵 당시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에서는 4번의 조별 리그 경기와 1번의 16강 경기가 열렸다. 월드컵을 위해 경기장에 관중석을 완전히 덮는 지붕이 추가되었다.[10]
경기 | 결과 |
---|---|
오스트레일리아 3-1 일본 | |
이탈리아 1-1 미국 | |
파라과이 2-0 트리니다드 토바고 | |
사우디아라비아 0-1 스페인 | |
이탈리아 1-0 오스트레일리아 |
4. 클럽 문화
카이저슬라우테른의 홈구장인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은 열정적인 팬들로 인해 원정팀에게 공포의 대상이 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가장 열성적인 서포터들이 자리하는 "Westkurve"(베스트쿠르베, 서쪽 스탠드를 의미)는 경기장 분위기를 압도한다.[26] 이 경기장에서 FC 바이에른 뮌헨은 58분에 4-1로 앞서다가 7-4로 역전패한 유명한 일화가 있다.[26]
카이저슬라우테른은 SV 발트호프 만하임, FC 바이에른 뮌헨과 격렬한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다. 덜하지만 지역 라이벌로는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가 있고, 최근에는 1. FSV 마인츠 05, 카를스루에 SC와도 라이벌 관계가 형성되고 있다. 반면, TSV 1860 뮌헨, SV 베르더 브레멘, 킬마녹 FC과는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5. 선수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의 선수단은 현재 선수 명단과 역대 주요 선수로 구성된다.[27]
'''현재 선수 명단'''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율리안 크라흘 | 독일 |
2 | DF | 보리스 토미아크 | 독일 |
3 | DF | 플로리안 클라인한슬 | 독일 |
6 | DF | 알마미 투레 | 말리 |
7 | MF | 마를론 리터 (주장) | 독일 |
8 | MF | 장 짐머 | 독일 |
9 | FW | 라그나르 아체 | 독일 |
10 | MF | 필리프 클레멘트 | 독일 |
11 | MF | 케니 프린스 레돈도 | 독일 |
13 | DF | 에리크 베케서 | 독일 |
17 | FW | 아론 오포쿠 | 독일 |
18 | FW | 야니크 마우세 | 독일 |
19 | FW | 다니엘 한슬릭 | 독일 |
20 | MF | 토비아스 라슐 | 독일 |
21 | MF | 헨드릭 추크 | 독일 |
22 | DF | 미카 하스 | 독일 |
23 | MF | 아페즈 아레무 | 나이지리아 |
24 | DF | 야니스 호이어 | 독일 |
26 | MF | 필리프 칼로츠 | 체코 |
27 | DF | 프랑크 론슈타트 | 독일 |
28 | GK | 파비안 헥 | 룩셈부르크 |
29 | FW | 리치몬드 타치에 | 독일 |
30 | GK | 아브도 스파히치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31 | DF | 루카 지르흐 | 독일 |
32 | DF | 얀 기아메라 | 독일 |
33 | DF | 얀 엘베디 | 스위스 |
34 | MF | 숀 블룸 | 독일 |
37 | DF | 레온 로빈슨 | 독일 |
40 | FW | 딕슨 아비아마 | 나이지리아 |
41 | FW | 요코타 다이스케 (横田 大祐|요코타 다이스케일본어) (헨트에서 임대) | 일본 |
DF | 닐 깁스 | 독일 | |
FW | 앙겔로스 스타브리디스 | 독일 |
'''역대 주요 선수'''
주요 선수 목록 | ||||
---|---|---|---|---|
valign="top" | | valign="top" | | valign="top" | | valign="top" | | |
colspan="5" style="text-align: center;" | |
과거 카이저슬라우테른을 거쳐간 주요 선수로는 로니 헬스트룀, 마크 슈워처, 팀 비제, 위르겐 마호, 케빈 트라프 등이 있다.
5. 1. 현재 선수 명단
wikitext[27]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율리안 크라흘 | 독일 |
2 | DF | 보리스 토미아크 | 독일 |
3 | DF | 플로리안 클라인한슬 | 독일 |
6 | DF | 알마미 투레 | 말리 |
7 | MF | 마를론 리터 (주장) | 독일 |
8 | MF | 장 짐머 | 독일 |
9 | FW | 라그나르 아체 | 독일 |
10 | MF | 필리프 클레멘트 | 독일 |
11 | MF | 케니 프린스 레돈도 | 독일 |
13 | DF | 에리크 베케서 | 독일 |
17 | FW | 아론 오포쿠 | 독일 |
18 | FW | 야니크 마우세 | 독일 |
19 | FW | 다니엘 한슬릭 | 독일 |
20 | MF | 토비아스 라슐 | 독일 |
21 | MF | 헨드릭 추크 | 독일 |
22 | DF | 미카 하스 | 독일 |
23 | MF | 아페즈 아레무 | 나이지리아 |
24 | DF | 야니스 호이어 | 독일 |
26 | MF | 필리프 칼로츠 | 체코 |
27 | DF | 프랑크 론슈타트 | 독일 |
28 | GK | 파비안 헥 | 룩셈부르크 |
29 | FW | 리치몬드 타치에 | 독일 |
30 | GK | 아브도 스파히치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31 | DF | 루카 지르흐 | 독일 |
32 | DF | 얀 기아메라 | 독일 |
33 | DF | 얀 엘베디 | 스위스 |
34 | MF | 숀 블룸 | 독일 |
37 | DF | 레온 로빈슨 | 독일 |
40 | FW | 딕슨 아비아마 | 나이지리아 |
41 | FW | 요코타 다이스케 (横田 大祐|요코타 다이스케일본어) (헨트에서 임대) | 일본 |
DF | 닐 깁스 | 독일 | |
FW | 앙겔로스 스타브리디스 | 독일 |
5. 2. 역대 주요 선수
주요 선수 목록 | ||||
---|---|---|---|---|
valign="top" | | valign="top" | | valign="top" | | valign="top" | | |
colspan="5" style="text-align: center;" | |
6. 역대 성적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은 분데스리가, DFB-포칼, UEFA 컵 위너스컵, UEFA 유로파리그, UEFA 챔피언스리그 등 다양한 대회에 참가하여 여러 차례 우승과 준우승을 기록했다. 다음은 주요 대회별 역대 성적을 정리한 표이다.
시즌 | 리그 | 순위 | 전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포칼 | CWC | UEL | UCL | |
---|---|---|---|---|---|---|---|---|---|---|---|---|---|---|---|
1989–90 | 1 분데스리가 | 12위 | 34 | 10 | 11 | 13 | 42 | 55 | -13 | 31 | 우승 | — | — | — | |
1990–91 | 1 분데스리가 | 우승 | 34 | 19 | 10 | 5 | 72 | 45 | +27 | 48 | 2라운드 | 1라운드 | — | — | |
1991–92 | 1 분데스리가 | 5위 | 38 | 17 | 10 | 11 | 58 | 42 | +16 | 44 | 8강 | — | — | 2라운드 | |
1992–93 | 1 분데스리가 | 8위 | 34 | 13 | 9 | 12 | 50 | 40 | +10 | 35 | 2라운드 | — | 3라운드 | — | |
1993–94 | 1 분데스리가 | 2위 | 34 | 18 | 7 | 9 | 64 | 36 | +28 | 43 | 8강 | — | — | — | |
1994–95 | 1 분데스리가 | 4위 | 34 | 17 | 12 | 5 | 58 | 41 | +17 | 46 | 4강 | — | 2라운드 | — | |
1995–96 | 1 분데스리가 | 16위 | 34 | 6 | 18 | 10 | 31 | 37 | -6 | 36 | 우승 | — | 2라운드 | — | — |
1996–97 | 2 분데스리가 | 우승 | 34 | 19 | 11 | 4 | 74 | 28 | +46 | 68 | 1라운드 | 1라운드 | — | — | |
1997–98 | 1 분데스리가 | 우승 | 34 | 19 | 11 | 4 | 63 | 39 | +24 | 68 | 3라운드 | — | — | — | |
1998–99 | 1 분데스리가 | 5위 | 34 | 19 | 6 | 9 | 62 | 37 | +25 | 63 | 2라운드 | — | — | 8강 | |
1999–00 | 1 분데스리가 | 5위 | 34 | 15 | 5 | 14 | 54 | 59 | -5 | 50 | 3라운드 | — | 3라운드 | — | |
2000–01 | 1 분데스리가 | 8위 | 34 | 15 | 5 | 14 | 49 | 54 | -5 | 50 | 2라운드 | — | 4강 | — | |
2001–02 | 1 분데스리가 | 7위 | 34 | 17 | 5 | 12 | 62 | 53 | +9 | 56 | 8강 | — | — | — | |
2002–03 | 1 분데스리가 | 14위 | 34 | 10 | 10 | 14 | 40 | 42 | -2 | 40 | 준우승 | — | — | — | |
2003–04 | 1 분데스리가 | 13위 | 34 | 11 | 6 | 17 | 39 | 62 | -23 | 36 | 1라운드 | — | 1라운드 | — | |
2004–05 | 1 분데스리가 | 12위 | 34 | 12 | 6 | 16 | 43 | 52 | -9 | 42 | 2라운드 | — | — | — | |
2005–06 | 1 분데스리가 | 16위 | 34 | 8 | 9 | 17 | 47 | 71 | -24 | 33 | 2라운드 | — | — | — | |
2006–07 | 2 분데스리가 | 6위 | 34 | 13 | 14 | 7 | 48 | 34 | +14 | 53 | 1라운드 | — | — | — | |
2007–08 | 2 분데스리가 | 13위 | 34 | 9 | 12 | 13 | 37 | 37 | 0 | 39 | 2라운드 | — | — | — | |
2008–09 | 2 분데스리가 | 7위 | 34 | 15 | 7 | 12 | 53 | 48 | +5 | 52 | 1라운드 | — | — | — | |
2009–10 | 2 분데스리가 | 우승 | 34 | 19 | 10 | 5 | 56 | 28 | +28 | 67 | 3라운드 | — | — | — | |
2010–11 | 1 분데스리가 | 7위 | 34 | 13 | 7 | 14 | 48 | 51 | -3 | 46 | 8강 | — | — | — |
- 리그: 분데스리가 (1990-91, 1997-98), 2. 분데스리가 (1996-97, 2009-10), 독일 챔피언쉽 (1950-51, 1952-53) 우승.
- 컵 대회: DFB-포칼 우승 (1989-90, 1995-96), 준우승 (1960-61, 1971-72, 1975-76, 1980-81, 2002-03), DFL-슈퍼컵 우승 (1991), 2023-24 시즌 DFB-포칼 결승 진출.
- 유럽 대항전: UEFA 유로파리그 4강 (1981-82, 2000-01), UEFA 챔피언스리그 8강 (1998-99).
- 기타: 오벨리가 쥐트베스트 우승 11회, 가울리가 베스트마르크 우승 1회, 베스트크라이스-리가 우승 1회, 남서부 컵 우승 (2018-19, 2019-20).
6. 1. 리그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은 분데스리가에서 2회 우승하였다.우승 시즌 |
---|
1990-91 |
1997-98 |
특히 1997-98 시즌 우승은 2. 분데스리가에서 승격된 직후 달성한 것으로, 분데스리가 역사상 최초이자 현재까지 마지막 기록이다.[10]
2. 분데스리가에서도 2회 우승을 차지했다.
우승 시즌 |
---|
1996-97 |
2009-10 |
독일 챔피언쉽에서도 2회 우승하였다.
우승 시즌 |
---|
1950-51 |
1952-53 |
6. 2. 컵 대회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은 DFB-포칼에서 두 번 우승(1989-90, 1995-96)했다. 특히 1995-96 시즌 우승은 같은 시즌 분데스리가에서 16위를 기록하며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2 분데스리가로 강등되는 아픔 속에서 거둔 것이라 빛이 바랬다. DFB-포칼 준우승은 5회 (1960-61, 1971-72, 1975-76, 1980-81, 2002-03) 기록했다.DFL-슈퍼컵에서는 1991년에 우승을 차지했다.
2023-24 시즌에는 4부 리그 팀 FC 로트-바이스 코블렌츠, 분데스리가 팀 1. FC 쾰른, 2부 리그 팀 1. FC 뉘른베르크 및 3부 리그 팀 1. FC 자르브뤼켄을 꺾고 DFB-포칼 결승에 진출하였으나, 분데스리가 챔피언 바이어 04 레버쿠젠에 1-0으로 아쉽게 패했다.
6. 3. 유럽 대항전
(5-4 승)(a.e.t.)